반응형
보험계리사 하는 일
보험계리사가 하는 일은 보험수리와 관련된 업무를 하게 되는데요. 자세한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보험료 및 책임준비금 산출방법서의 작성에 관한 사항
- 책임준비금·비상위험준비금 등 준비금의 적립과 준비금에 해당하는 자산의 적정성에 관한 사항
- 잉여금의 배분·처리 및 보험계약자 배당금의 배분에 관한 사항
- 지급여력비율 계산 중 보험료 및 책임준비금과 관련된 사항
- 상품공시자료 중 기초서류와 관련된 사항
보험계리 사는 세분야로 구분이 되는데요. 각기 고용보험계리사, 독립보험계리사, 선임계리사로 나뉘게 되었습니다.
구분 | 업무 |
고용보험계리사 | 보험사업자에게 고용된 보험계리사 |
독립보험계리사 | 보험사업자에게 고용되지 않고 보험계리업을 독립적으로 영위하는 보험계리사 |
선임계리사 | 기초서류의 내용 및 보험계약에 의한 배당금계산 등 확인업무를 담당하는 보험계리사 |
보험계리사 되는 방법
보험계리사도 금융감독원에서 진행하는 보험계리사 시험에 합격하고 실무실습을 마쳐야 등록이 가능합니다.
자격 취득 순서
1차 시험 -> 2차 시험 -> 실무 실습 -> 보험계리사 등록
시험 과목
보험계리사 시험도 공인영어 어학성적이 필요한데요. 어학성적은 민간 공인어학성적으로 대체됩니다. 1차 시험에서 유효한 어학성적을 제출하면 됩니다.
구분 | 1차시험 | 2차시험 |
시험과목 | 보험계약법(상법 보험편), 보험업법 및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 경제학원론 보험수학 회계원리 |
계리리스크관리 보험수리학 연금수리학 계리모형론 |
시험방법 | 선택형(객관식 4지 선택형 택1) | 논문형(약술형 또는 주관식 풀이형) |
어학성적 기준
구 분 | 토플(TOEFL) | 토익 | 텝스 | 지텔프 | 플렉스 | |
PBT | IBT | (TOEIC) | (TEPS) | (G-TELP)lv.2 | (FLEX) | |
일반응시자 | 530점 이상 | 71점 이상 | 700점 이상 | 340점 이상 | 65점 이상 | 625점 이상 |
청각장애인 | 352점 이상 | 35점 이상 | 350점 이상 | 204점 이상 | 43점 이상 | 375점 이상 |
응시 자격
보험계리사 응시 자격 역시 공인어학성적 외에 관련 근무 경력 5년 이상 어야 하는데요.
1차 시험은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2차 시험에서는 5년 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합니다.
구분 | 1차시험 | 2차시험 |
응시자격 | 학력, 성별, 연령, 경력, 국적 등의 제한이 없음 | 보험계리사 1차시험에 합격한 자 중 1차시험에 합격한 해를 포함하여 5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자 ('95년이전 제1차시험 합격자 포함) 보험업법시행규칙 제47조의 규정에 의한 기관 (보험회사, 보험협회, 보험요율산출기관(보험개발원), 농업협동조합중앙회, 5인 이상의 상근계리사를 두고 있는 독립계리업자 (보험업법 제128조 제2항에 따른 독립계리법인))에서 보험 계리업무에 5년이상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
2025.01.16 - [자격증] - 손해사정사 하는 일 | 손해사정사 시험 및 응시자격
반응형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해평가사 손해사정사 비교 정리 (0) | 2025.01.22 |
---|---|
손해평가사 하는 일 (1) | 2025.01.21 |
손해사정사 하는 일 | 손해사정사 시험 및 응시자격 (0) | 2025.01.19 |
감정평가사 하는 일 | 감정평가사 시험 (0) | 2025.01.18 |
감정사 검수사 검량사 비교 정리 (0) | 2025.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