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관세사 시험 및 합격률

로로로야 2025. 1. 28. 00:01
반응형

 

 

관세사 하는 일

관세사는 무역 및 통관 관련분야에 전문지식을 갖고 화주로부터 위탁을 받아 수출입업체를 대리하는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데요.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수출입물품에 대한 세 번·세율의 분류, 과세가격의 확인과 세액의 계산
  • 관세법에 의한 수출·수입 또는 반송의 신고와 이와 관련되는 절차의 이행
  • 수출입하려는 물품의 허가·승인·표시나 그 밖의 조건을 구비하였음을 증명하기 위하여 하는 증명 또는 확인의 신청
  • 관세법에 의한 이의신청·심사청구 및 심판청구의 대리
  • 관세에 관한 상담 또는 자문
  • 환급청구의 대리 등 세관의 조사 또는 처분 등과 관련된 화주를 위한 의견진술의 대리
  • 「관세법」에 따른 신고·보고 또는 신청 등과 이와 관련되는 절차의 이행

 

관세사 진로 
  • 개인 관세사사무소의 개설
  • 합동관세사사무소에 참여
  • 관세법인 취업
  • 통관취급법인에 취업
  • 개인(합동) 관세사 또는 관세법인에 취업 등

 

관세사 시험 

관세사 시험은 1차와 2차 시험에 합격하여야 하는데요. 1차 시험은 객관식이고 2차 시험은 논술식입니다. 

관세사 시험 일정
구분 접수기간 시험일정 합격자 발표
2025년 42회 1차 2025.02.10~2025.02.14 2025.03.15 2025.04.16~
2025년 42회 2차 2025.05.12~2025.05.16 2025.06.14 2025.10.05~

 

 

관세사 시험 과목
구분 시험과목 시험방법
1차 시험 1. 관세법개론(자유무역협정 이행을 위한 관세법의 특례에 관한 법률 포함)
2. 무역영어
3. 내국소비세법
(부가가치세법, 개별소비세법, 주세법에 한함)
4. 회계학(회계원리, 회계이론에 한함)
개관식 
5지선택형
2차 시험 1. 관세법(관세평가 제외, 수출용 원재료에 대한 관세 등 환급에 관한 특례법 포함)
2. 관세율표 및 상품학
3. 관세평가
4. 무역실무(대외무역법 및 외국환거래법 포함)
논술형

 

시험 합격 기준
1차 시험 :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 자
2차 시험 : 매 과목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득점한자

※  다만, 매 과목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을 득점한 자가 최소합격인원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동 최소합격인원의 범위 안에서 매 과목 40점 이상을 득점한자 중에서 전 과목 평균득점에 의한 고득점자순으로 합격자를 결정.
※  위의 단서규정에 따라 합격자를 결정함에 있어서 동점자로 인하여 최소합격인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당해 동점자모두를 합격자로 결정. 이 경우 동점자의 점수계산은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까지 계산.

 

관세사 시험 합격률
구  분 2022 2023 2024
 1차 시험 응시 1,798 1,635 1,499
합격 470 405 381
합격률 26.10% 24.80% 25.40%
 2차 시험 응시 778 649 607
합격 169 90 90
합격률 21.70% 13.90% 13.30%

 

더 자세한 정보는 한구관세사회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관세사회 바로가기 

 

한국관세사회

 

krcaa.or.kr

 

2025.01.15 - [자격증] - 감정평가사 하는 일 | 감정평가사 시험

 

감정평가사 하는 일 | 감정평가사 시험

감정평가사 하는 일감정평가란 부동산, 동산을 포함하여 토지, 건물, 기계기구, 항공기, 선박, 유가증권, 영업권과 같은 유무형의 재산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가액으로 표시

rororoya.tistory.com

2025.01.14 - [자격증] - 감정사 검수사 검량사 비교 정리

 

감정사 검수사 검량사 비교 정리

감정사 검수사 검량사 하는 일 감정사, 검수사, 검량사 모두 해양 물류, 운송 업무 관련 일을 하게 되는데요. 각기 조금씩 다른 업무를 하고 있어 그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감정사검수사검량사

rororoya.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