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청각장애인통역사 되는 방법

로로로야 2025. 4. 8. 00:01
반응형

 

 

청각장애인통역사 되는 방법 

청각장애인통역사는 문맹농인과 청인의 의사소통상황에서 원활하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계자의 역할과 체계적인 의사소통 촉진자를 말하고 있습니다. 

 

청각장애인통역사 자격증은 수화통역사와 마찬가지로 한국농아인협회에서 주최하는 민간자격증입니다. 민간자격증이지만 공신력은 큰 자격증입니다. 

 

청각장애인의 원활한 사회참여를 촉진함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의사소통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청각장애인으로서 통역을 행하는 자의 관련지식 및 기능에 대한 심사/증명을 행하며, 의료, 복지, 법률, 교육, 사회, 문화 등 전반에서 바른 권리를 행사하며 시민으로서의 균등한 기회를 얻을 수 있게 하는 수화통역의 기본이념을 바르게 구현하기 위하여 청각장애인 통역인에 대한 자격인정 및 전문가를 양성하는 제도이기도 합니다. 

 

만약 이 분야에 지식이 있으시다면 기본 도서로 독학하며 시험을 준비해 볼 수 있지만 아예 초보라면 교육이수를 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청각장애인통역사 보수교육 

한국농아인협회에서 주최하는 교육인데요. 수화통역사보다는 교육기간이 짧은 것으로 보입니다. 

이 또한 대면 수업이 있는데요. 아무래도 중요한 실습 같은 교육은 대면수업으로 들어야 그 효과가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청각장애인통역사 자격시험 

청각장애인통역사는 의료(병원통역), 법률(법원, 경찰 관련통역), 직업(취업알선, 교육, 상담들의 직업을 위한 통역), 의식(종교, 장례식, 결혼식 등 각종행사), 민원(관공서 이용 등), 수화통역 행정(문서작성 및 관리, 영상전화 및 내방객 면담, 회의 및 세미나) 등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자격시험은 수화통역사와 마찬가지로 1차 2차 3차로 되어있는데요. 각기 필기시험, 실기시험, 합격자 연수로 나뉘어 있습니다. 

 

시험과목 
구분 1차 필기시험 2차 실기시험 합격자 연수 
시험과목  한국어의 이해
통역의 기초
일반상식
문장통역
수화통역1(농수화통역)
수화통역2(문장수화통역)
-
시험방법  3과목/총50문항
(객관식 4지선다)
문장통역:
화면에 제시되는 문장을 숙지한 후 수화로 표현

수화통역1: 
화면에 제시되는 농식수화를 숙지한 후 제시된 질문에 답함

수화통역2: 
화면에 제시되는 문장식수화를 숙지한 후 제시된 질문에 답함
연수과정 수료
합격기준  총 60점 이상 
득점한자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각 과목당 40점 이상 득점한 자 3차 합격자 연수 
수료 후 자격증수여

2025.03.29 - [자격증] - 수화통역사 되는 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