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병리학과란
언어병리학 (Speech-Language Pathology)은 청각학 (Audiology)과 더불어 의사소통장애 (Communication Disorders)를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합니다.
의사소통장애란 유전적, 생리적, 심리적 또는 환경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상태를 일컫는데, 청각장애, 말-언어이해장애, 말-언어산출장애 등을 모두 포함하는 총체적인 개념인데요.
이 중에 말-언어장애 즉, 언어 (language)나 말 (speech)의 이해 및 산출에 관련된 장애를 평가, 진단, 예방 및 치료 등의 측면에서 전반적인 이론 및 임상을 연구하는 학문이 언어병리학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언어장애와 말장애는 어떻게 구별이 될까요? 언어장애 (Language Disorders)는 아동의 언어습득기에 언어발달에 관련된 장애나 언어습득 후 사고나 질환으로 인해 후유증으로 생길 수 있는 언어이해 및 산출장애를 말하며 읽기 및 쓰기 장애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말장애 (Speech Disorders)는 소리를 매개체로 한 말의 인식 (speech perception)이나 산출 (speech production)의 장애를 포함하며 조음장애 (articulation-phonatory disorders), 음성장애 (voice disorders), 말더듬증 (stuttering), 구개열 (cleft palate), 말운동장애 (motor speech disorders)등이 포함됩니다.
언어장애와 말장애는 서로 함께 동반되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언어치료사의 역할
언어재활사(speech-language pathologist)는 언어장애를 나타내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말-언어능력을 평가하고 개별화된 언어치료를 진행합니다.
언어재활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학교 및 대학원과정을 통하여 말-언어-청각에 관련된 다양한 기초 및 응용과목에 대한 교육을 받게 되며, 임상실습과정을 통하여 실제적으로 언어장애를 접하게 됩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언어재활사는 병원, 복지관/특수학교, 개인사설 언어치료실, 언어교육 및 관련연구기관, 대학 등의 여러 장소에서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병원의 경우는 재활의학과, 신경과, 이비인후과, 소아정신과, 소아청소년과, 성형외과 등의 전문화된 영역에서의 언어재활사의 역할뿐만 아니라 열거된 여러 임상과 간의 교류를 통하여 팀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이 중시되기도 합니다.
또한, 복지관/특수학교에서도 특수교육교사, 임상심리전문가, 교사 등과의 팀접근을 통한 언어치료가 중요시됩니다.
현재 우리나라 전역의 사설언어치료실에서 활동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는 그 수가 점차로 증가하고 있으며, 임상면에서의 능력을 인정받은 언어재활사는 학생들의 언어임상지도자 역할을 맡기도 합니다.
연세대 언어병리학과 연혁
1994. 3. | 연세의료원 의학기술수련원 언어치료사 교육과정 설립 |
1998. 9.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석사학위과정 개설 |
1999. 2. | 연세의료원 의학기술수련원 언어치료사 교육과정 폐지 |
2001. 9.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 협동과정 박사학위과정 개설 |
2009. 03.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석·박사 통합과정 개설 |
연세대 언어병리학과 석사과정 신청기간
연세대 언어병리학과 석사과정은 25년 전기만 모집하는데요. 후기는 모집하고 있지 않습니다.
작년기준 10월 12일~10월 30일까지 원서 서류 제출 기간이었는데요.
올해도 아마 비슷할 것 같네요. 9월 중 업데이트 예정이라고 하니 미리 준비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연세대 언어병리학과 등록금 총액은 작년기준 8,821,000원입니다.
전기 입학안내 바로가기
연세대 언어병리학과 좋은 점
연세대 언어병리학과는 의대로 소속되어 있고 강의실, 교수실 등 학과 기반 시설이 모두 세브란스 재활 병원 내에 위치하며, 수업, 연구, 임상 관찰 및 치료실습 등의 대부분이 병원에서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정보, 규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마우스 없을 때 키보드로 조작하는 방법 (0) | 2024.07.28 |
---|---|
HTML 이미지 | 동영상 | 웹페이지 삽입 코드 (0) | 2024.07.21 |
한글 뷰어 없이 한글 파일 여는 방법 (1) | 2024.07.16 |
외대 이대 통번역대학원 석사과정 신청기간 (0) | 2024.07.15 |
전자소송 폐문 부재 시 특별송달 방법 (0) | 2024.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