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치유하기
자신의 삶을 살펴보면, 미해결 된 과거의 위기 지닌 잔재가 보일 것입니다. 그 당시 일어났던 사건에 대한 생각과 감정은 세상을 인식하는 데에도 악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이런 생각과 감정이 삶의 어떤 부분을 망가뜨렸다는 사실도 알게 될 것입니다. 이대 그 일이 계속해서 대가를 치를 가치가 있는지 자문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죠.
즉 감정을 조사해 놓아 버림으로써 치유가 일어나게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큰일을 치른 뒤에 진가를 발휘하는 새로운 감정 치유 기법을 알게 되죠. 사건을 새로운 맥락에서 이해하고, 새로운 시각으로 보고, 의의와 의미가 다른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평가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대개 과거를 후회하고 미래를 두려워하며 일생을 보낸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금 이 시점의 환희는 경험하지 못하죠. 인간의 운명이 원래 그러하니 '쓴웃음'이라도 지으며 참는 것이 최선일 것이라고 흔히 짐작합니다.
과거 치유 해결 방법은?
과거 해결에 효과가 좋은 방법 중 하나로 새로운 맥락 만들기가 있습니다. 과거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다는 뜻으로,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과거의 곤경이나 트라우마 안에 선물이 숨어 있었음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이 기법의 가치를 정신 의학계에서 처음 알아본 사람은 빅토르 프랭클입니다.
그는 임상 경험과 개인 체험을 통해 감정과 트라우마를 새로운 의미로 에워싸면 그 발생 양상이 현저히 달라지면서 치유된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프랭클은 자신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내면의 승리를 가져올 기회로 보고 나치 수용소의 경험에 대해 이렇게 적었습니다.
"인간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으려 해도 빼앗을 수 없는 한 가지, 즉 인간의 마지막 자유는 어떤 상황에서도 자신의 태도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 자신만의 길을 택할 수 있는 자유다."
아무리 '비극적인' 경험이라 해도 모든 인생 경험에는 교훈이 숨어 있습니다. 경험 속에서 숨은 선물을 발견하고 그것을 받아들일 때 치유가 일어난다고 합니다.
예로 든다면
실직자는 시간이 흐른 뒤 지난 일을 돌이켜 보고는, 이전 직장은 성장에 방해가 되었으며 그 안에서 판에 박힌 생활을 했을 뿐이라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일하면서 궤양까지 얻었던 그는 실직하기 전까지는 그곳의 즐거운 면만 보았죠. 일단 상황에서 벗어나자, 그동안 육체적, 정신적, 감정적으로 치렀던 대가가 보이기 시작했죠.
실직한 뒤에 그는 새로운 능력과 재능을 찾아내는 일에 마음을 열었고, 나아가 더욱 유망한 직업을 새로 찾았죠.
이렇듯 삶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성장하고, 확장하고, 경험하고, 발전할 기회입니다. 어떤 사건들을 돌이켜 보면 그 이면에 무의식적인 목적이 있었다고 느낄 때가 있습니다. 중요한 무언가를 배워야 하는데, 그것을 경험할 유일한 길이 고통스럽더라도 그 같은 사건이었음을 무의식이 알고 있는 것입니다.
정신분석학자 칼 융이 평생을 걸친 연구 끝에 이런 결론을 내렸습니다.
무의식 속에는 전체가 되고 완전해지고 큰 나를 깨닫고자 하는 선천적 충동이 있어,
무의식이 설사 의식적인 마음에 상처를 준다 해도 충동을 실현할 방법과 수단을 고안한다.
또한 융에 의하면 무의식 속에는 우리가 지닌 어떤 측면이 존재하는데 이를 '그림자'라 합니다. 그림자는 자신에 대한 생각과 감정, 개념을 억압한 것들의 일체로, 스스로 직면하고 싶지 않은 것입니다. 위기의 이점은 위기 덕에 종종 자신의 그림자를 익힌다는 것입니다.
또 위기 덕에 우리는 보다 인간미 있고 폭넓은 사람이 되어 자신이 모든 인간과 공유하는 점을 깨닫습니다.
'그들'의 죄라고 생각한 모든 것이 내 안에도 똑같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런 면을 의식적으로 자각해 인정하고 항복하면 더 이상 무의식적으로 휘둘리지 않게 됩니다.
일단 그림자를 인정하면 그림자는 힘을 잃습니다. 단지 내게 어떤 금지된 충동과 생각, 감정이 있음을 알아보기만 하면 되는 것이죠. 그리고 나면 그런 것들을 "그래서 뭐?" 하며 다룰 수 있게 됩니다.
삶을 겁내는 것은 감정을 겁내는 것입니다.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은 사건이 아니라 사건에 대한 자신의 감정입니다. 감정을 정복하면 삶에 대한 두려움이 줄어듭니다. 자신감이 커져 기꺼이 더 큰 모험을 하게 됩니다.
용서하고 자신의 마음에 항복하기
우리는 누군가와 다투었거나 싸운 후 마음에 안 좋은 감정이 쌓이고 또 상대에 대한 혐오와 자존심 때문에 한동안 서로 말을 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둘 중 그 누구도 먼저 용서하거나 자신의 마음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면 결국 평생 무덤까지 갈 수도 있게 되죠. 시간이 오래되면 무슨 일로 싸웠는지도 기억이 잘 나질 않을 것입니다.
이럴 땐 조용히 내 마음을 들여다 보고 내 마음에 항복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자연스레 상대를 용서하는 마음이 생겨나게 됩니다.
내면에서 부정적 감정에 매달리고 싶어 하는 것은 우리의 왜소함 때문입니다. 왜소함은 심술궂고, 옹졸하고, 이기적이고, 경쟁심 많고, 인색하고, 음해하기 좋아하고, 의심 많고, 앙심을 잘 품고, 비판 잘하고, 보잘것없고, 나약하고, 죄책감 많고, 떳떳하지 못하고 자만심 강한 측면입니다.
왜소함에는 에너지가 별로 없어서, 자존심만 고갈시키고 낮추게 되죠.
스스로를 관대하고 너그럽고 자정 하며 자신의 내적 위대함을 느끼는 사람으로 상상하면 즉시 근력이 세져서 긍정적인 생명 에너지가 급상승할 것입니다. 즉 부정적 감정의 놓아 버림은 긍정적 감정에 대한 저항을 그만두는 것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도서, 엔터터엔먼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편소설 소원을 이루어주는 섬 후기 (0) | 2025.01.26 |
---|---|
딥페이크는 단점만 존재할까? (6) | 2024.09.05 |
PNC 2024 배틀그라운드 월드컵 (1) | 2024.08.29 |
서울 정독도서관 후기 | 자율학습실 | 구내식당 (0) | 2024.08.20 |
스님이 법당 청소를 하는 이유 | 나를 찾아서 책 리뷰 (0) | 2024.08.18 |